전체 글 45

어휘 속에 담긴 시간 감각 — 옛날 시간 표현과 단위들

해시, 삼경, 하루살이… 옛말 속 시간 표현을 따라가다 보면, 느림과 여유가 있던 삶이 보입니다. 한글 속 시간에도 온기가 있었던 시절오늘날 우리는 시간을 초 단위로 재고, 분 단위로 일정을 쪼개며 살아갑니다. 스마트폰 시계에 종속된 삶을 살다 보면, 어느 순간 ‘시간이 우리를 지배하고 있다’는 감정이 들기도 합니다.하지만 아주 오래전, 조상들은 해의 움직임과 계절의 흐름을 따라 시간을 느꼈습니다.해가 뜨면 일어나고, 해가 지면 하루를 마무리하는 삶 속에는 지금은 낯선 말들인 ‘삼경’, ‘해시’, ‘순’ 등이 자연스럽게 쓰였습니다.이 글에서는 한글 속에 녹아 있는 옛 시간 표현과 단위들을 되짚어 보며, 숫자 대신 감각으로 시간을 재던 시절의 따뜻한 리듬을 함께 되살려 보고자 합니다. 한글로 해를 따라..

한글 이야기 2025.04.05

왜 ‘아랫목’ 이라고 부를까? 전통 주거 문화 속 언어 이야기

– 공간은 사라졌지만, 말은 한글 속에 살아 있습니다 – 지금은 사라졌지만, 여전히 익숙한 말 ‘아랫목’오늘날에도 겨울이면 “아랫목이 그립다”는 말을 종종 들을 수 있습니다.이미 보일러와 전기난방이 일상화된 시대임에도,‘아랫목’이라는 한글 표현은 여전히 따뜻함, 정서, 포근함을 떠올리게 합니다.하지만 정작 ‘아랫목’이 구체적으로 어디를 가리키는지,왜 그렇게 불렸는지를 정확히 아는 분은 드뭅니다.실제로 ‘아랫목’은 단순한 공간 명칭이 아니라,조선시대의 온돌 구조와 가족 질서, 생활문화가 녹아든 한글의 언어 유산이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아랫목’을 중심으로 웃목, 사랑채, 행랑채 등전통 주거 공간에서 파생된 한글 표현들을 살펴보고,그 언어가 지금까지 어떻게 살아남았는지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아랫목과 웃..

한글 이야기 2025.04.05

일상 속 외래어, 순우리말로 바꿔본다면?

– 익숙함 속에 가려진 우리말의 숨결 – 한글을 밀어낸 낯익은 외래어들우리는 일상 속에서 무심코 외래어를 자주 사용하고 있습니다.“케이스 좀 가져와요”, “오늘 미팅이 있어요”, “이벤트 기간이래요” 같은 문장 속 단어들은 모두 외래어이지만, 이미 한글처럼 익숙하게 정착된 표현입니다.1980~90년대 이후 광고, 방송, 인터넷, 기술 산업을 거치며 수많은 외래어가 한글 언어생활 속에 무분별하게 유입되었고, ‘아이템’, ‘세트’, ‘베스트’, ‘컨디션’과 같은 단어들이 자연스럽게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하지만 이런 표현들 속에서 한글 고유의 말맛과 정서적 깊이는 점차 희미해졌습니다.물론 외래어가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닙니다.하지만 그것이 무의식적이고 습관적으로 사용되며 한글을 대체하고 있다면, 언어 문화의 균..

한글 이야기 2025.04.05

계절을 닮은 말들 – 옛 사람들은 이렇게 계절을 불렀다

– 계절을 바라보는 마음, 한글로 남기다 – 한글 속에 담긴 계절의 감성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한 나라입니다.봄이 오면 마음도 부풀고, 여름이면 짜증과 설렘이 함께 찾아옵니다.가을은 사색과 풍요의 계절이며, 겨울은 고요 속 따뜻함을 기다리는 시간이지요.이러한 계절의 감정을 한글로 표현하면 어떤 풍경이 될까요?현대에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이라는 단어로 계절을 구분하지만,한글의 어휘 유산 속에는 계절을 훨씬 더 섬세하게 표현한 순우리말들이 존재합니다.이 말들은 단순히 날씨를 설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그 계절을 살아낸 사람들의 감정과 감각까지 담고 있습니다.오늘은 잊혀진 계절 어휘를 통해,한글이 품고 있는 계절의 온도를 함께 되새겨보고자 합니다. 봄을 부르는 한글 — 생명과 설렘의 어휘들봄은 생명의 시..

한글 이야기 2025.04.05

이름에 숨은 우리말의 뜻 : ‘예쁜 이름’의 언어학

– 단순한 부름이 아닌, 마음이 담긴 언어 – 이름은 단지 부르는 말이 아닙니다우리는 살아가며 수많은 이름을 부르고 듣습니다.친구의 이름, 자녀의 이름, 반려동물의 이름, 브랜드나 가게 이름까지.이름은 단순히 누군가를 지칭하거나 식별하는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닙니다.그 안에는 존재를 바라보는 시선, 마음의 결, 그리고 기대와 사랑이 담깁니다.최근 들어 많은 부모들은 흔하지 않은 이름, 예쁜 우리말 이름을 지어주고자 합니다.개성 있고 감성적인 이름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지면서,한자어 기반의 이름 대신 순우리말 이름이 점점 더 주목받고 있습니다.‘다솜’, ‘이든’, ‘하람’, ‘라온’, ‘가온’과 같은 이름은그 발음이 부드럽고 따뜻할 뿐 아니라,뜻 또한 고운 경우가 많아 순우리말 이름의 인기가 꾸준히 높아..

한글 이야기 2025.04.05

우리가 자주 틀리는 한국어 표현 TOP 10

– 헷갈리지만 꼭 알아야 할 맞춤법 바로잡기 – 말은 정확해야 마음이 통합니다한국어 표현은 일상에서 무심코 사용되지만,그 안에 숨겨진 맞춤법 오류는 의외로 많습니다.작은 실수 하나가 말의 인상을 바꾸고,글의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도 있습니다.특히 디지털 시대에는 메시지, SNS, 이메일 등글로 소통하는 일이 많아지면서 한글 맞춤법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습니다.지금부터는 우리가 자주 틀리는 한국어 표현을 하나하나 짚어보며보다 정확하고 품격 있는 언어 사용을 시작해보겠습니다. 자주 틀리는 한국어 표현 ① 틀리다 × 다르다“나랑 틀려.” → ❌ 틀림.✔ ‘틀리다’는 정답이 아닐 때, ‘다르다’는 비교할 때 사용합니다.→ “나랑 달라.”가 맞습니다.② 되 × 돼“되요?” → ❌ 틀림.✔ ‘되다’의 활용형은 ‘돼..

한글 이야기 2025.04.04

1940~60년대 유행어 모음

– 방송·라디오에서 탄생한 우리말들 – 한글과 방송이 함께 만든 말의 문화1940~60년대는 우리나라가 큰 변화를 겪던 시기였습니다.그 시대의 중심에는 다름 아닌 ‘방송’이라는 새로운 대중 매체가 있었습니다.특히 라디오는 글을 몰라도 들을 수 있고, 전기만 있다면 누구나 접할 수 있는 매체로,당시 많은 사람들의 일상 속에 깊이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라디오는 단순한 소리 상자가 아니라 시대의 감정과 정서를 담는 매체였으며,말을 퍼뜨리고, 유행을 만들고, 공감을 나누는 통로로 작용했습니다.시장과 거리, 아이들의 입에서도 라디오 속 말이 오르내릴 만큼,방송은 한글 표현을 생활 언어로 정착시키는 강력한 역할을 했습니다.“전파를 탔다”는 말이 곧 “유명해졌다”, “이름이 퍼졌다”는 표현으로 통용될 정도로,방송 =..

한글 이야기 2025.04.04

전통 음식 이름의 의미와 현대화 과정

– 이름 속에 담긴 조상들의 지혜, 그리고 지금 우리의 식탁 – 전통 음식 이름, 그냥 지어진 것이 아닙니다일상 속에서 접하는 ‘전’, ‘탕’, ‘찜’, ‘구이’와 같은 한국 전통 음식 이름들은 단순히 조리법만을 설명하는 단어일까요?사실 이들 이름은 재료, 조리 방법, 계절, 용도, 격식 등을 모두 고려해 구성된, 말 그대로 문화적 이름표였습니다.예를 들어 ‘장떡’은 장류(된장, 고추장, 간장 등)를 넣어 만든 전이며,‘수라’는 왕이 드시는 밥상을 의미하는 궁중 음식 용어입니다.이처럼 전통 음식 이름은 단어 하나에 조리 목적, 음식의 사회적 위치, 역사적 배경까지 담고 있습니다.이름을 들으면 음식의 성격을 유추할 수 있고,그 안에는 조상들의 지혜와 공동체의 정서가 고스란히 스며 있습니다. 음식 이름에..

한글 이야기 2025.04.04

조선 시대 편지글에서 본 존댓말의 기원과 변화

– 말씨에 담긴 존중, 한글로 전해지다 – 조선 사람들의 편지, 그 속의 ‘말씨’조선 시대 사람들은 오늘날보다 훨씬 격식과 예의를 중요하게 여겼습니다.그들의 편지는 단지 내용을 전달하는 수단이 아니라,상대방과의 관계, 지위, 감정까지 담아내는 정교한 언어의 예술이었습니다.현대에는 “안녕하세요” 한마디로 인사를 대신하지만,조선 시대 편지글에서는 인사만으로도 몇 줄을 채우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이러한 한글 표현의 정중함은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존댓말의 뿌리가 되었습니다. 편지글 속에 남은 한글 존댓말의 고대 형식17~19세기의 조선 후기 편지글을 살펴보면,다음과 같은 존댓말 표현이 자주 등장합니다.“천한 몸이 감히 문안 올리나이다.”“소자는 늘 평안하신지 궁금할 따름이옵니다.”“그간 몸체 편강하신지 엎..

한글 이야기 2025.04.04

한국 근대 소설 속 인물들이 쓴 우리말 표현 분석

— 문학에서 발견한 시대의 언어, 그리고 사람들 한글 근대 문학, 그 시절 말의 창고한국의 근대 소설은 단순한 이야기 이상의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한글로 쓰인 소설 속에는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감정, 사고방식, 그리고 일상적인 말투가 그대로 담겨 있습니다.특히 191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발표된 작품들은 한글의 독자적 쓰임과 정서의 변화를 선명하게 보여주는 언어 자료로서도 의미가 깊습니다.예를 들어, 이광수의 『무정』, 염상섭의 『삼대』,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 같은 작품들을 보면,오늘날은 잘 사용하지 않는 말들이 한글로 자연스럽게 기록되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한글로 표현된 소설 속 ‘그때의 말투’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에서 주인공 김 첨지는 이렇게 말합니다:“오늘은 아주 운..

한글 이야기 2025.04.04